벤틀리시스템즈 로고 녹색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 지원

기후 회복 탄력적인 저공해 경로를 만들려면 인프라가 전례 없이 변화해야 합니다.

벤틀리는 사용자인 인프라 전문가가 인프라 디지털 트윈 솔루션을 통해 더욱 지속 가능하고, 예측 가능하며, 복원력이 뛰어난 결과를 실현하도록 도와 UN의 지속 가능 발전목표(SDG) 달성을 적극 지원합니다.

아래 2022년 사례를 통해 벤틀리 사용자들이 작업 중인 인프라 프로젝트를 통해 UN SDGs 대처에 어떻게 도움을 주고 있는지 알아보. 십시오이러한 사례는 벤틀리 사용자가 경제와 환경을 모두 유지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많은 프로젝트를 찾아보기 쉽도록 지속 가능성 트렌드에 따라 정리되어 있습니다.

  • 기후 행동
  • 기후 행동 아이콘

    기후 행동

    기후 변화에 적응

    새로운 건설 작업에서 탄소 모니터링/저감

    세계 인구의 85%는 이미 기후 변화와 직접 관련된 사건의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UN 전문가들이 "세계 역사상 가장 방대하고 만연한 위협"이라고 하는 인간이 유발한 기후 변화로 인해 2022년 전 세계 각지에서 이상 기후가 증폭되었으며 가뭄, 홍수, 산불, 폭염, 식량 불안정이 악화되었습니다.

    2030년까지 섭씨 1.5°가 오르는 상황에서 향후 10년 동안 세계 인구의 절반 가량이 더위, 가뭄, 홍수 또는 수자원 압박과 관련된 기후 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이는 현재보다 43% 증가한 수치입니다.

    인프라 자산은 탈탄소화하는 동시에 지역 사회의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해 특별한 적응과 수정이 필요합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축할 수 있는 운영 탄소 배출량과 달리, 자재 및 건설에서 발생하는 내재된 탄소 배출량은 인프라 자산이 구축되는 즉시 그 자리에 고정됩니다. 내재된 탄소배출량은 전체의 57%를 차지합니다. 콘크리트, 강철, 알루미늄 이 세 가지 자재만으로도 전 세계 배출량의 23%를 차지합니다. 더 나은 설계와 자재 선택을 통해 내재된 탄소배출량을 놀라울 만큼 감축할 기회가 있습니다.

    세만톡 댐 프로젝트

    PT Hutama Karya(Persero) | 인도네시아

    자바섬 동부 Nganjuk의 저지대와 산악 지형에 위치한 세만톡 댐은 홍수 방류를 줄이고 수자원 가용성을 보장하며 지역의 농업 생산성을 약 3배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프로젝트를 설계할 때 PT Hutama Karya는 모래 토양층이 이 지역에 댐을 건설하는 데 큰 장애물이 된다는 것을 즉시 알아챘습니다. PT Hutama Karya는 현실 모델링 및 건설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여 누출을 방지하고 현장 밖에서 탄소 집약적인 충진재 굴착의 필요성을 없애기 위해 설계를 변경하는 방법을 결정했습니다. 완공된 댐은 이제 홍수를 방지하고 농업을 지원하며 경제 발전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관련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image_title
    목표 2

    굶주림 없는 세상

    #image_title
    목표 6
    물과 위생에 대한 모두의 접근성 보장
    #image_title
    목표 13
    기후 변화와 그 영향에 맞서는 긴급 조치

    Unity Place, WSP를 통해 최적화한 설계 납품

    WSP | 영국

    Unity Place는 Satander Bank의 새로운 본사이며, 나아가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인 공간으로 환경 지속 가능성의 우수성을 달성하고 지역 사회 복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또 WSP는 지속 가능한 건설 과정을 위해 구조 및 지질 공학 해석에 주목했습니다. WSP는 건축 자재에서 시멘트의 50%를 대체하고, 설계에서 16,000톤의 콘크리트를 제거하고, 탄소 배출량을 크게 줄이고, 런던 에너지 전환 이니셔티브에서 설정한 2030 탄소 감축 목표를 초과 달성하는 방법을 발견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상업용 신축 건물의 지속 가능한 설계에 대한 벤치마크를 설정하고 공격적인 녹색 인증, 옥상 태양 전지판 및 생물 기후 건축 전략을 통합합니다.

    관련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image_title
    목표 7
    저렴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지속 가능하고 최신인 에너지에 대한 접근 보장
    #image_title
    목표 12
    지속 가능한 소비와 생산 패턴 보장
    #image_title
    목표 13
    기후 변화와 그 영향에 맞서는 긴급 조치

    디지털 데이터 및 탄소 플랫폼

    Network Rail | 영국

    HS2가 북쪽으로 계속 이동함에 따라 Network Rail은 Northern Powerhouse Rail의 개발과 Transpennine Route Upgrade 프로그램의 건설에 크게 관여하고 있습니다. 두 프로젝트 모두 북부 및 중부 지역의 통합 철도 계획에 중요합니다. 이러한 노력과 함께 Network Rail은 전 생애에 걸친 탄소 배출량을 정량화, 보고 및 대량 절감을 위한 교통부의 지침도 마주하고 있습니다.

    이 지시를 달성하기 위한 중요 전략은 세 가지 주요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단일 디지털 플랫폼으로 통합하여 디지털 상황에서 현재 및 미래 자산을 모두 검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 기능은 보다 정보에 입각한 의사 결정을 지원하고 이해 관계자가 이러한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잠재적인 시너지와 대안을 효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합니다.

    Network Rail은 Jacobs와 협력하여 탄소 배출량을 보다 정확하게 계산하도록 방법을 개선하고 있습니다. 이 방법은 가장 영향력 있는 탄소 절감을 달성할 수 있는 설계의 초기 단계에 중점을 두고 프로젝트 수명 동안 이 중점을 유지합니다. 벤틀리시스템즈의 기술을 통해 촉진되는 탄소 감축에 대한 이러한 장기적이고 지속 가능한 접근 방식은 향후 몇 년 동안 탄소 배출량을 효율적으로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관련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image_title
    목표 9

    회복탄력적 인프라 구축, 지속 가능한 산업화 촉진과 혁신 육성

    #image_title
    목표 11

    포용력 있고, 안전하고, 회복탄력적이며 지속 가능한 도시 만들기

    #image_title
    목표 13
    기후 변화와 그 영향에 맞서는 긴급 조치
  • 순환성
  • 주위에 원과 화살표가 있는 지구의 라인 아트 아이콘

    순환성

    폐기물, 물 및 자재 소비 절감

    글로벌 문제 해결

    지구의 자원은 유한합니다. 폐기물, 물 사용, 자원 소모를 줄이는 것은 우리가 반드시 극복해야 하는 가장 중대한 사회적 어려움 중 하나입니다.

    현재 경제 상황에서 우리는 지구에서 광물을 채취하고 채취한 광물로 제품을 만들고 마지막에는 폐기물로 버립니다. 이는 선형적인 과정입니다. 하지만 순환성이라고 하는 순환 경제에서는 애초에 폐기물을 만들고 자원을 소비하는 것을 피하며 효율을 최대화하고 자원을 순환하며 자연을 재생합니다.

    순환성은 기후 변화, 생물 다양성 손실, 폐기물 및 환경오염과 같은 글로벌 문제를 해결하는 시스템 솔루션 프레임워크입니다. 이 개념을 적용하면 제품, 자재, 자원 및 인프라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순환성은 지속 가능한 미래에 관해 가장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개념입니다. 여러 조직이 이미 인프라 프로젝트에 혁신적인 순환 원칙을 통합하고 있습니다.

    Al Hammam “신삼각주” 농업 배수 처리장  

    PGESCO | 이집트

    지속 가능한 농업을 개발하는 것은 특히 사막 환경에서 중요한 과제입니다. PGESCO는 하루 750만 입방미터 용량으로 세계 최대 규모 중 하나인 농업 배수 처리장을 건설하고자 했습니다. 이 대규모 프로젝트를 생성하기 위해, PGESCO는 연결된 데이터 환경을 구축하여 팀 구성원이 협업하고 자재 재사용을 개선할 수 있도록 지원했습니다. 완성된 플랜트는 현재 나일강 삼각주 서쪽 지역 2,200에이커를 관개하여 농업을 확장하고 서부 사막 지역 전체에 긍정적인 사회적, 경제적 영향을 는 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관련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image_title
    목표 2

    굶주림 없는 세상

    #image_title
    목표 6
    물과 위생에 대한 모두의 접근성 보장
    #image_title
    목표 12
    지속 가능한 소비와 생산 패턴 보장

    Hebei Taihang Steel의 중앙 수처리 프로젝트

    MCC Capital Engineering & Research Incorporation Limited | 중국

    철강 플랜트는 엄청난 양의 물을 사용하며 소비를 줄이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Taihang Steel 플랜트를 리노베이션하는 동안 소유자는 모든 산업 폐수를 재활용하기 위해 시스템을 검사하여 물 배출을 0으로 만들고자 했습니다. MMC Capital Engineering & Research Incorporation은 플랜트의 디지털 버전을 제작하여 친환경적이고 지능적인 물 처리 시설을 신속하게 실현할 수 있었습니다. 이 설계는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동시에 폐수 배출량을 연간 985만 입방미터, 새로운 물 생산량을 연 2700만 입방미터 절감합니다. 

    관련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image_title
    목표 6
    물과 위생에 대한 모두의 접근성 보장
    #image_title
    목표 9
    회복탄력적 인프라 구축, 지속 가능한 산업화 촉진과 혁신 육성
    #image_title
    목표 12
    지속 가능한 소비와 생산 패턴 보장

    GeoBIM을 통한 자재 재사용의 효율성 및 지속 가능성 유도 

    Mott MacDonald | 영국

    High Speed 2 Phase 1은 엄청난 양의 토공이 필요한 대규모 대중교통 프로젝트로, 굴착에 약 2500만 입방미터 규모의 자재가 배정되었습니다. 자재를 재사용하고 폐기물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찾아낸다면 대형 운송 차량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크게 줄일 수 있을 테지만, 기존의 지질 공학 평가 방법은 이 작업에 적합하지 않았습니다. Mott MacDonald는 디지털 데이터 관리와 고급 지질 공학 애플리케이션을 결합하여 건설 현장의 3D 표현을 기반으로 하는 협업 geoBIM 평가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이 해석은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자재 재사용에 대한 중요한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폐기물과 탄소 배출량을 크게 줄여 HS2의 50% 탄소 절감 공약을 지원했습니다.

    관련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image_title
    목표 12

    지속 가능한 소비와 생산 패턴 보장

    #image_title
    목표 13
    기후 변화와 그 영향에 맞서는 긴급 조치
    #image_title
    목표 15
    지속 가능한 산림 관리, 사막화 방지, 토지 황폐화 중단 및 회복, 생물 다양성 손실 중지

    MARUI – 플랜트 설계

    Polymetrix AG | 일본

    MARUI는 사용한 플라스틱 병을 식품 등급 재활용 제품으로 전환하는 순환 재활용 설계 구축 시설입니다. Polymetrix는 벤틀리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프로젝트가 진행됨에 따라 모든 당사자가 프로젝트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연결된 디지털 환경을 구축했습니다. 유사한 프로젝트와 비교했을 때, MARUI는 자원 생산성이 10%에서 20%까지 증가하면서 5%에서 10% 더 빠르게 완료되었습니다. 이 디지털 솔루션은 운영 중에도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플라스틱 재활용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관련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image_title
    목표 9

    회복탄력적 인프라 구축, 지속 가능한 산업화 촉진과 혁신 육성

    #image_title
    목표 12

    지속 가능한 소비와 생산 패턴 보장

    #image_title
    목표 14

    대양, 바다 및 해양 자원의 보존과 지속 가능한 사용

    노이다 국제공항 - 인프라 설계

    Ramboll India Pvt. Ltd. | 인도

     노이다 국제공항은 인도 최초의 넷 제로(Net-Zero) 공항으로 설계되었을 뿐 아니라 효율적인 배수를 통해 대형 홍수에 대비하는 한편 재사용할 물을 모을 수 있는 수자원, 폐수 및 우수 네트워크를 갖추었습니다. 복잡한 시설을 설계하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Ramboll India는 3D 디지털 모델을 만들어 공항의 모든 요소에 원활하게 연결되는 효과적이고 지속 가능한 수자원 시스템을 개발하는 동시에 수명 주기 탄소 배출량을 낮췄습니다. 이 수자원 네트워크는 최소 100년 동안 홍수를 방지하는 동시에 외부 수원의 필요성을 연간 90,000입방미터 낮춰줄 것입니다. 

    관련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image_title
    목표 9

    회복탄력적 인프라 구축, 지속 가능한 산업화 촉진과 혁신 육성

    #image_title
    목표 12

    지속 가능한 소비와 생산 패턴 보장

    #image_title
    목표 13
    기후 변화와 그 영향에 맞서는 긴급 조치
  • 에너지 전환
  • Icon

    에너지 전환

    재생 및 효율성

    글로벌 에너지 위기에 따른 국고 보조금으로 에너지 전환이 한층 강력하게 추진됐습니다. 일부 전문가는 이러한 요인이 타임라인을 10년은 앞당겼다고 말합니다.

    저탄소 에너지원으로의 전환은 저렴하고 지속 가능한 전기에 대한 보편적 접근을 보장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향후 10년 동안 감축해야 하는 탄소의 50% 이상이 탈탄소화 산업 및 에너지 시스템에서 비롯될 것입니다.

    10명 중 1명은 여전히 전기를 제대로 이용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수요가 증가할수록 미래 지향적인 인프라를 구축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기존의 성숙한 저비용 기술을 활용하여 빠른 성과 달성을 추구하는 것입니다.

    핵심은 에너지원의 다각화입니다. 전 세계에 전력을 공급할 만큼 충분한 저탄소 에너지를 생산하려면 태양열, 지열, 풍력 및 수력 등 모든 재생 가능 에너지원을 통합하여 재생 가능한 에너지 생산을 가속화해야 합니다.

    에너지를 소비, 생산 또는 분배하는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면 즉각적으로 환경 및 경제적 투자 회수가 이루어집니다. 에너지 효율성 개선만으로도 2040년까지 감축해야 하는 배출량 중 40% 이상을 줄일 수 있습니다.

    Three Gorges Yangjiang 에서 건설한 중국 최초의 기가와트 해상 풍력 발전 단지  

    Shanghai Investigation, Design & Research Institute Co., Ltd. (SIDRI) | 중국

    해상 풍력 발전 단지는 현재 막대한 양의 청정 풍력 에너지를 생산하고 있으며, 여러 조직에서 이를 계속 확대하고 있습니다. SIDRI는 총 용량 1기가와트의 중국 최초 해양 시설인 Three Gorges Yangjiang Shapa 해양 풍력 발전 단지를 건설했습니다. SIDRI는 풍력 발전 단지의 규모와 더불어 촉박한 건설 일정을 달성하는 동시에 지역의 혹독한 조건도 극복해야 했습니다. 디지털 설계 및 해석을 통해 SIDRI는 풍력 터빈 및 그 기초의 모델링 과정을 자동화하고 간소화했습니다. 이 시설은 이제 200만 가구에 풍력 에너지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매년 약 400만 톤의 탄소 배출량을 절감하고 있습니다.  

    관련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image_title
    목표 2

    굶주림 없는 세상

    #image_title
    목표 7

    저렴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지속 가능하고 최신인 에너지에 대한 접근 보장

    #image_title
    목표 15

    지속 가능한 산림 관리, 사막화 방지, 토지 황폐화 중단 및 회복, 생물 다양성 손실 중지

    Fuxin PV Grid Parity Base의 디지털 적용 및 R&D(CTG SIDRI)  

    Shanghai Investigation, Design & Research Institute Co., Ltd. (SIDRI) | 중국

    중국의 청정 에너지로의 전환은 여러 새로운 재생 가능한 전력 시설의 건설을 의미합니다. 중국 최대의 시설 중 한 곳은 500메가와트 규모의 Fuxin PV Grid Parity Base입니다. SIDRI는 번거로운 기존 설계 방법을 사용하면서 프로젝트의 현장 레이아웃과 세부 정보를 관리하는 데 수많은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3D 설계 및 디지털 프로젝트로 전환한 SIDRI는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일정보다 6개월 빨리 프로젝트를 완료할 수 있었고 지역의 탄소 기반 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낮출 수 있었습니다. 이제 이 시설은 매년 Fuxin 전력망에 2억 4,030만 킬로와트시의 전기를 공급합니다.

    관련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image_title
    목표 7

    저렴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지속 가능하고 최신인 에너지에 대한 접근 보장

    #image_title
    목표 9

    회복탄력적 인프라 구축, 지속 가능한 산업화 촉진과 혁신 육성

    #image_title
    목표 13
    기후 변화와 그 영향에 맞서는 긴급 조치

    카우나스 디지털 트윈

    카우나스 공과 대학교 | 리투아니아

    스마트 시티 및 인프라에 중점을 둔 지역 사회를 구축, 유지 및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기 위해, 카우나스 공과 대학교는 다른 조직과 협력하여 도시 건설 환경의 디지털 트윈을 개발했습니다. 대학은 벤틀리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정밀한 도시 규모 디지털 트윈을 개발했을 뿐만 아니라 실내 기후 조건을 해석하고 건설 에너지 소비를 최적화할 수 있는 기술도 통합했습니다. 나아가서 디지털 트윈을 사용해 태양광 패널 같은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을 대학 그리드에 포함시킬 방법을 찾아낼 계획입니다. 

    관련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image_title
    목표 4

    양질의 교육은 사람들의 생활 개선과 지속 가능한 발전으로 나아가는 기초입니다.

    #image_title
    목표 7

    저렴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지속 가능하고 최신인 에너지에 대한 접근 보장

    #image_title
    목표 13
    기후 변화와 그 영향에 맞서는 긴급 조치

    Oasis Montaj, 아프리카의 지열 에너지 찾기  

    보츠와나 국제 과학 기술 대학교(BIUST) | 보츠와나

    BIUST는 보츠와나의 빠르게 증가하는 인구에게 전기를 공급할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을 키우고 활용하기 위해 카사네 온천을 지열 에너지 생산에 사용할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현장을 온전히 평가하려면 수많은 종류의 지구 물리학 데이터를 포착, 결합 및 해석해야 했습니다. 직관적인 지구 물리학 모델을 단일 플랫폼 내에 생성하여 팀은 해당 지역의 위험과 이점에 대해 깊이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그 결과 BIUST는 예상 카사네 온천이 보츠와나에서 지열 에너지 발전에 가장 적합한 장소임을 파악했으며 보츠와나의 에너지 부족을 지속 가능한 방향으로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했습니다.

    관련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image_title
    목표 7

    저렴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지속 가능하고 최신인 에너지에 대한 접근 보장

    #image_title
    목표 12

    지속 가능한 소비와 생산 패턴 보장

    #image_title
    목표 13
    기후 변화와 그 영향에 맞서는 긴급 조치

    파이프라인 시스템 최적화를 위한 Silo AI Flow  

    Silo AI | 핀란드

    북극권에서 그리 멀지 않은 국가인 핀란드의 도시 대부분은 추운 겨울 동안 난방을 유지하기 위해 지역 난방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중앙 열원에서 단열 파이프망을 통해 열을 개별 건물로 수자원 보냅니다. 하지만 시스템이 노후되면서 10km 마다 매년 하나씩 누출이 발생하게 되어 서비스 중단, 에너지 비효율성, 수자원불안정을 야기했습니다. Silo AI는 단일 디지털 플랫폼에 헬싱키의 난방 시스템에 대한 모든 정보를 불러와 소유 운영자가 누출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위치의 유지 관리 활동을 우선할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 헬싱키의 시스템은 배관 온도를 섭씨 3도 낮춰 에너지 효율이 크게 개선되었고 연료 소비는 감소했으며 동시에 같은 수준의 난방을 제공하게 되었습니다. 

    관련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image_title
    목표 7

    저렴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지속 가능하고 최신인 에너지에 대한 접근 보장

    #image_title
    목표 11

    포용력 있고, 안전하고, 회복탄력적이며 지속 가능한 도시 만들기

    #image_title
    목표 12

    지속 가능한 소비와 생산 패턴 보장

  • 디지털 시티
  • 디지털 시티 아이콘

    디지털 시티

    건강, 지속 가능, 회복탄력성

    단 25개의 초대형 도시가 전 세계 도시 온실 가스 배출량의 52%를 생산합니다. 이러한 도시는 기후 변화의 가장 큰 원인이자 가장 큰 피해자이기도 하므로 도시에는 기후 변화 대처를 위한 강력한 동기가 있습니다. 10,000개가 넘는 도시가 이미 2050년까지 자체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도시는 다른 중요한 과제 역시 마주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 도시 인구의 50%만 대중 교통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 매 분마다 17명이 대기 오염으로 사망합니다. 코로나19의 파괴적 특성과 새로운 글로벌 불확실성은 도시 지역이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예측할 수 없는 미래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는 사실을 확실히 상기시켰습니다.

    당사는 삶의 질, 건강, 탈탄소화, 기후 복원력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번화한 도시를 강화할 방법과 기술을 계속 찾아야 합니다.

    도시는 여기에 머물고 인류의 미래는 의심할 여지없이 도시에 있을 것이나 대도시 지역을 명시하는 것은 아닙니다. 중소 규모의 도시 영역이 계속 성장할 것입니다.

    Foth, 디지털로 매핑된 도시 건설

    Foth Infrastructure & Environment, LLC | 미국

    Perry시는 본래 Foth 시민 접근성 개선을 위해 Foth를 고용하여 모바일 LiDAR 스캐닝으로 소규모 마을의 거리 및 보도 상태를 평가했습니다. 시 공무원들은 곧 이 프로젝트를 보다 많은 녹지를 구축하고 역사적 건축물을 보존하는 등의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추가 도시 전체의 디지털 트윈으로 전환할 수 있음을 깨달았습니다. Foth 굉장한 양의 현실 데이터를 처리하여 도시에 가상 생활을 가져왔습니다. 이제 도시의 공무원은 이를 사용하여 시민에게 보다 강력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잠재적 투자자를 장려하고,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재난 대비를 개선합니다.

    관련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image_title
    목표 11

    포용력 있고, 안전하고, 회복탄력적이며 지속 가능한 도시 만들기

    #image_title
    목표 13

    기후 변화와 그 영향에 맞서는 긴급 조치

    #image_title
    목표 15

    지속 가능한 산림 관리, 사막화 방지, 토지 황폐화 중단 및 회복, 생물 다양성 손실 중지

    네트워크 해석과 마라위 재건

    Maynilad Water Services Inc. (MWS) | 필리핀

    2017 마라위에서는 친 IS 무장 단체가 5개월 간 파괴적인 포위 공격을 쏟아부은 이후 300,000명( 도시 인구의 98%)의 이재민이 발생했으며 도시의 수자원 분배 센터 등 도시 운영의 필수적인 부분에 심각한 피해를 입었습니다. MWS는 빠르게 거주민을 위한 서비스를 복구해야 했지만 프로젝트 현장은 여전히 손상되어 있었고 위험했습니다. 기존의 측량 방식으로 직원을 위험에 내모는 대신, MWS는 수력학 모델링을 사용하여 저압 및 공급 부족을 유발하는 문제 영역을 식별하여 최적화된 목표 지정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합니다. 결과적으로 팀은 전쟁으로 황폐화된 지역의 삶의 질을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되는 복구 전략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관련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image_title
    목표 3

    건강한 삶을 보장하고 모든 연령대의 웰빙을 증진

    #image_title
    목표 6
    물과 위생에 대한 모두의 접근성 보장
    #image_title
    목표 11

    포용력 있고, 안전하고, 회복탄력적이며 지속 가능한 도시 만들기

    자율 주행 및 전기 자동차를 위한 새로운 테스트 트랙

    AFRY | 스웨덴

    전기차 및 자율 주행 차랑은 운송의 미래이지만 이 기술은 아직 개발 중입니다. 상용차 제조업체 SCANIA는 이러한 혁신을 연마하기 위한 테스트 트랙을 설계하기 위해 AFRY를 선택했습니다. 이 프로젝트에는 19킬로미터의 도로가 포함되며, 여기에는 60개 이상의 교차로와 복잡한 언덕이 많은 지반 조건이 있어 엄격한 테스트를 보장합니다. AFRY는 3D 모델링을 사용하여 단일 요소를 변경하는 것처럼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설계했습니다 다른 사람에게 지구 물리학 데이터를 영향을 미칩니다. 그 과정에서 AFRY는 테스트 트랙의 탄소발자국을 줄이는 동시에 핵심 차량 기술의 장기적 개발을 지원 필수적인 배출 없는 차량 기술 개발을 통해. 

    관련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image_title
    목표 11

    포용력 있고, 안전하고, 회복탄력적이며 지속 가능한 도시 만들기

    #image_title
    목표 12

    지속 가능한 소비와 생산 패턴 보장

    #image_title
    목표 15

    지속 가능한 산림 관리, 사막화 방지, 토지 황폐화 중단 및 회복, 생물 다양성 손실 중지

기후 행동 아이콘

기후 행동

기후 변화에 적응

새로운 건설 작업에서 탄소 모니터링/저감

세계 인구의 85%는 이미 기후 변화와 직접 관련된 사건의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UN 전문가들이 "세계 역사상 가장 방대하고 만연한 위협"이라고 하는 인간이 유발한 기후 변화로 인해 2022년 전 세계 각지에서 이상 기후가 증폭되었으며 가뭄, 홍수, 산불, 폭염, 식량 불안정이 악화되었습니다.

2030년까지 섭씨 1.5°가 오르는 상황에서 향후 10년 동안 세계 인구의 절반 가량이 더위, 가뭄, 홍수 또는 수자원 압박과 관련된 기후 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이는 현재보다 43% 증가한 수치입니다.

인프라 자산은 탈탄소화하는 동시에 지역 사회의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해 특별한 적응과 수정이 필요합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축할 수 있는 운영 탄소 배출량과 달리, 자재 및 건설에서 발생하는 내재된 탄소 배출량은 인프라 자산이 구축되는 즉시 그 자리에 고정됩니다. 내재된 탄소배출량은 전체의 57%를 차지합니다. 콘크리트, 강철, 알루미늄 이 세 가지 자재만으로도 전 세계 배출량의 23%를 차지합니다. 더 나은 설계와 자재 선택을 통해 내재된 탄소배출량을 놀라울 만큼 감축할 기회가 있습니다.

세만톡 댐 프로젝트

PT Hutama Karya(Persero) | 인도네시아

자바섬 동부 Nganjuk의 저지대와 산악 지형에 위치한 세만톡 댐은 홍수 방류를 줄이고 수자원 가용성을 보장하며 지역의 농업 생산성을 약 3배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프로젝트를 설계할 때 PT Hutama Karya는 모래 토양층이 이 지역에 댐을 건설하는 데 큰 장애물이 된다는 것을 즉시 알아챘습니다. PT Hutama Karya는 현실 모델링 및 건설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여 누출을 방지하고 현장 밖에서 탄소 집약적인 충진재 굴착의 필요성을 없애기 위해 설계를 변경하는 방법을 결정했습니다. 완공된 댐은 이제 홍수를 방지하고 농업을 지원하며 경제 발전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관련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image_title
목표 2

굶주림 없는 세상

#image_title
목표 6
물과 위생에 대한 모두의 접근성 보장
#image_title
목표 13
기후 변화와 그 영향에 맞서는 긴급 조치

Unity Place, WSP를 통해 최적화한 설계 납품

WSP | 영국

Unity Place는 Satander Bank의 새로운 본사이며, 나아가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인 공간으로 환경 지속 가능성의 우수성을 달성하고 지역 사회 복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또 WSP는 지속 가능한 건설 과정을 위해 구조 및 지질 공학 해석에 주목했습니다. WSP는 건축 자재에서 시멘트의 50%를 대체하고, 설계에서 16,000톤의 콘크리트를 제거하고, 탄소 배출량을 크게 줄이고, 런던 에너지 전환 이니셔티브에서 설정한 2030 탄소 감축 목표를 초과 달성하는 방법을 발견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상업용 신축 건물의 지속 가능한 설계에 대한 벤치마크를 설정하고 공격적인 녹색 인증, 옥상 태양 전지판 및 생물 기후 건축 전략을 통합합니다.

관련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image_title
목표 7
저렴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지속 가능하고 최신인 에너지에 대한 접근 보장
#image_title
목표 12
지속 가능한 소비와 생산 패턴 보장
#image_title
목표 13
기후 변화와 그 영향에 맞서는 긴급 조치

디지털 데이터 및 탄소 플랫폼

Network Rail | 영국

HS2가 북쪽으로 계속 이동함에 따라 Network Rail은 Northern Powerhouse Rail의 개발과 Transpennine Route Upgrade 프로그램의 건설에 크게 관여하고 있습니다. 두 프로젝트 모두 북부 및 중부 지역의 통합 철도 계획에 중요합니다. 이러한 노력과 함께 Network Rail은 전 생애에 걸친 탄소 배출량을 정량화, 보고 및 대량 절감을 위한 교통부의 지침도 마주하고 있습니다.

이 지시를 달성하기 위한 중요 전략은 세 가지 주요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단일 디지털 플랫폼으로 통합하여 디지털 상황에서 현재 및 미래 자산을 모두 검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 기능은 보다 정보에 입각한 의사 결정을 지원하고 이해 관계자가 이러한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잠재적인 시너지와 대안을 효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합니다.

Network Rail은 Jacobs와 협력하여 탄소 배출량을 보다 정확하게 계산하도록 방법을 개선하고 있습니다. 이 방법은 가장 영향력 있는 탄소 절감을 달성할 수 있는 설계의 초기 단계에 중점을 두고 프로젝트 수명 동안 이 중점을 유지합니다. 벤틀리시스템즈의 기술을 통해 촉진되는 탄소 감축에 대한 이러한 장기적이고 지속 가능한 접근 방식은 향후 몇 년 동안 탄소 배출량을 효율적으로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관련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image_title
목표 9

회복탄력적 인프라 구축, 지속 가능한 산업화 촉진과 혁신 육성

#image_title
목표 11

포용력 있고, 안전하고, 회복탄력적이며 지속 가능한 도시 만들기

#image_title
목표 13
기후 변화와 그 영향에 맞서는 긴급 조치
주위에 원과 화살표가 있는 지구의 라인 아트 아이콘

순환성

폐기물, 물 및 자재 소비 절감

글로벌 문제 해결

지구의 자원은 유한합니다. 폐기물, 물 사용, 자원 소모를 줄이는 것은 우리가 반드시 극복해야 하는 가장 중대한 사회적 어려움 중 하나입니다.

현재 경제 상황에서 우리는 지구에서 광물을 채취하고 채취한 광물로 제품을 만들고 마지막에는 폐기물로 버립니다. 이는 선형적인 과정입니다. 하지만 순환성이라고 하는 순환 경제에서는 애초에 폐기물을 만들고 자원을 소비하는 것을 피하며 효율을 최대화하고 자원을 순환하며 자연을 재생합니다.

순환성은 기후 변화, 생물 다양성 손실, 폐기물 및 환경오염과 같은 글로벌 문제를 해결하는 시스템 솔루션 프레임워크입니다. 이 개념을 적용하면 제품, 자재, 자원 및 인프라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순환성은 지속 가능한 미래에 관해 가장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개념입니다. 여러 조직이 이미 인프라 프로젝트에 혁신적인 순환 원칙을 통합하고 있습니다.

Al Hammam “신삼각주” 농업 배수 처리장  

PGESCO | 이집트

지속 가능한 농업을 개발하는 것은 특히 사막 환경에서 중요한 과제입니다. PGESCO는 하루 750만 입방미터 용량으로 세계 최대 규모 중 하나인 농업 배수 처리장을 건설하고자 했습니다. 이 대규모 프로젝트를 생성하기 위해, PGESCO는 연결된 데이터 환경을 구축하여 팀 구성원이 협업하고 자재 재사용을 개선할 수 있도록 지원했습니다. 완성된 플랜트는 현재 나일강 삼각주 서쪽 지역 2,200에이커를 관개하여 농업을 확장하고 서부 사막 지역 전체에 긍정적인 사회적, 경제적 영향을 는 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관련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image_title
목표 2

굶주림 없는 세상

#image_title
목표 6
물과 위생에 대한 모두의 접근성 보장
#image_title
목표 12
지속 가능한 소비와 생산 패턴 보장

Hebei Taihang Steel의 중앙 수처리 프로젝트

MCC Capital Engineering & Research Incorporation Limited | 중국

철강 플랜트는 엄청난 양의 물을 사용하며 소비를 줄이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Taihang Steel 플랜트를 리노베이션하는 동안 소유자는 모든 산업 폐수를 재활용하기 위해 시스템을 검사하여 물 배출을 0으로 만들고자 했습니다. MMC Capital Engineering & Research Incorporation은 플랜트의 디지털 버전을 제작하여 친환경적이고 지능적인 물 처리 시설을 신속하게 실현할 수 있었습니다. 이 설계는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동시에 폐수 배출량을 연간 985만 입방미터, 새로운 물 생산량을 연 2700만 입방미터 절감합니다. 

관련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image_title
목표 6
물과 위생에 대한 모두의 접근성 보장
#image_title
목표 9
회복탄력적 인프라 구축, 지속 가능한 산업화 촉진과 혁신 육성
#image_title
목표 12
지속 가능한 소비와 생산 패턴 보장

GeoBIM을 통한 자재 재사용의 효율성 및 지속 가능성 유도 

Mott MacDonald | 영국

High Speed 2 Phase 1은 엄청난 양의 토공이 필요한 대규모 대중교통 프로젝트로, 굴착에 약 2500만 입방미터 규모의 자재가 배정되었습니다. 자재를 재사용하고 폐기물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찾아낸다면 대형 운송 차량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크게 줄일 수 있을 테지만, 기존의 지질 공학 평가 방법은 이 작업에 적합하지 않았습니다. Mott MacDonald는 디지털 데이터 관리와 고급 지질 공학 애플리케이션을 결합하여 건설 현장의 3D 표현을 기반으로 하는 협업 geoBIM 평가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이 해석은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자재 재사용에 대한 중요한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폐기물과 탄소 배출량을 크게 줄여 HS2의 50% 탄소 절감 공약을 지원했습니다.

관련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image_title
목표 12

지속 가능한 소비와 생산 패턴 보장

#image_title
목표 13
기후 변화와 그 영향에 맞서는 긴급 조치
#image_title
목표 15
지속 가능한 산림 관리, 사막화 방지, 토지 황폐화 중단 및 회복, 생물 다양성 손실 중지

MARUI – 플랜트 설계

Polymetrix AG | 일본

MARUI는 사용한 플라스틱 병을 식품 등급 재활용 제품으로 전환하는 순환 재활용 설계 구축 시설입니다. Polymetrix는 벤틀리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프로젝트가 진행됨에 따라 모든 당사자가 프로젝트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연결된 디지털 환경을 구축했습니다. 유사한 프로젝트와 비교했을 때, MARUI는 자원 생산성이 10%에서 20%까지 증가하면서 5%에서 10% 더 빠르게 완료되었습니다. 이 디지털 솔루션은 운영 중에도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플라스틱 재활용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관련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image_title
목표 9

회복탄력적 인프라 구축, 지속 가능한 산업화 촉진과 혁신 육성

#image_title
목표 12

지속 가능한 소비와 생산 패턴 보장

#image_title
목표 14

대양, 바다 및 해양 자원의 보존과 지속 가능한 사용

노이다 국제공항 - 인프라 설계

Ramboll India Pvt. Ltd. | 인도

 노이다 국제공항은 인도 최초의 넷 제로(Net-Zero) 공항으로 설계되었을 뿐 아니라 효율적인 배수를 통해 대형 홍수에 대비하는 한편 재사용할 물을 모을 수 있는 수자원, 폐수 및 우수 네트워크를 갖추었습니다. 복잡한 시설을 설계하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Ramboll India는 3D 디지털 모델을 만들어 공항의 모든 요소에 원활하게 연결되는 효과적이고 지속 가능한 수자원 시스템을 개발하는 동시에 수명 주기 탄소 배출량을 낮췄습니다. 이 수자원 네트워크는 최소 100년 동안 홍수를 방지하는 동시에 외부 수원의 필요성을 연간 90,000입방미터 낮춰줄 것입니다. 

관련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image_title
목표 9

회복탄력적 인프라 구축, 지속 가능한 산업화 촉진과 혁신 육성

#image_title
목표 12

지속 가능한 소비와 생산 패턴 보장

#image_title
목표 13
기후 변화와 그 영향에 맞서는 긴급 조치
Icon

에너지 전환

재생 및 효율성

글로벌 에너지 위기에 따른 국고 보조금으로 에너지 전환이 한층 강력하게 추진됐습니다. 일부 전문가는 이러한 요인이 타임라인을 10년은 앞당겼다고 말합니다.

저탄소 에너지원으로의 전환은 저렴하고 지속 가능한 전기에 대한 보편적 접근을 보장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향후 10년 동안 감축해야 하는 탄소의 50% 이상이 탈탄소화 산업 및 에너지 시스템에서 비롯될 것입니다.

10명 중 1명은 여전히 전기를 제대로 이용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수요가 증가할수록 미래 지향적인 인프라를 구축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기존의 성숙한 저비용 기술을 활용하여 빠른 성과 달성을 추구하는 것입니다.

핵심은 에너지원의 다각화입니다. 전 세계에 전력을 공급할 만큼 충분한 저탄소 에너지를 생산하려면 태양열, 지열, 풍력 및 수력 등 모든 재생 가능 에너지원을 통합하여 재생 가능한 에너지 생산을 가속화해야 합니다.

에너지를 소비, 생산 또는 분배하는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면 즉각적으로 환경 및 경제적 투자 회수가 이루어집니다. 에너지 효율성 개선만으로도 2040년까지 감축해야 하는 배출량 중 40% 이상을 줄일 수 있습니다.

Three Gorges Yangjiang 에서 건설한 중국 최초의 기가와트 해상 풍력 발전 단지  

Shanghai Investigation, Design & Research Institute Co., Ltd. (SIDRI) | 중국

해상 풍력 발전 단지는 현재 막대한 양의 청정 풍력 에너지를 생산하고 있으며, 여러 조직에서 이를 계속 확대하고 있습니다. SIDRI는 총 용량 1기가와트의 중국 최초 해양 시설인 Three Gorges Yangjiang Shapa 해양 풍력 발전 단지를 건설했습니다. SIDRI는 풍력 발전 단지의 규모와 더불어 촉박한 건설 일정을 달성하는 동시에 지역의 혹독한 조건도 극복해야 했습니다. 디지털 설계 및 해석을 통해 SIDRI는 풍력 터빈 및 그 기초의 모델링 과정을 자동화하고 간소화했습니다. 이 시설은 이제 200만 가구에 풍력 에너지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매년 약 400만 톤의 탄소 배출량을 절감하고 있습니다.  

관련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image_title
목표 2

굶주림 없는 세상

#image_title
목표 7

저렴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지속 가능하고 최신인 에너지에 대한 접근 보장

#image_title
목표 15

지속 가능한 산림 관리, 사막화 방지, 토지 황폐화 중단 및 회복, 생물 다양성 손실 중지

Fuxin PV Grid Parity Base의 디지털 적용 및 R&D(CTG SIDRI)  

Shanghai Investigation, Design & Research Institute Co., Ltd. (SIDRI) | 중국

중국의 청정 에너지로의 전환은 여러 새로운 재생 가능한 전력 시설의 건설을 의미합니다. 중국 최대의 시설 중 한 곳은 500메가와트 규모의 Fuxin PV Grid Parity Base입니다. SIDRI는 번거로운 기존 설계 방법을 사용하면서 프로젝트의 현장 레이아웃과 세부 정보를 관리하는 데 수많은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3D 설계 및 디지털 프로젝트로 전환한 SIDRI는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일정보다 6개월 빨리 프로젝트를 완료할 수 있었고 지역의 탄소 기반 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낮출 수 있었습니다. 이제 이 시설은 매년 Fuxin 전력망에 2억 4,030만 킬로와트시의 전기를 공급합니다.

관련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image_title
목표 7

저렴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지속 가능하고 최신인 에너지에 대한 접근 보장

#image_title
목표 9

회복탄력적 인프라 구축, 지속 가능한 산업화 촉진과 혁신 육성

#image_title
목표 13
기후 변화와 그 영향에 맞서는 긴급 조치

카우나스 디지털 트윈

카우나스 공과 대학교 | 리투아니아

스마트 시티 및 인프라에 중점을 둔 지역 사회를 구축, 유지 및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기 위해, 카우나스 공과 대학교는 다른 조직과 협력하여 도시 건설 환경의 디지털 트윈을 개발했습니다. 대학은 벤틀리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정밀한 도시 규모 디지털 트윈을 개발했을 뿐만 아니라 실내 기후 조건을 해석하고 건설 에너지 소비를 최적화할 수 있는 기술도 통합했습니다. 나아가서 디지털 트윈을 사용해 태양광 패널 같은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을 대학 그리드에 포함시킬 방법을 찾아낼 계획입니다. 

관련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image_title
목표 4

양질의 교육은 사람들의 생활 개선과 지속 가능한 발전으로 나아가는 기초입니다.

#image_title
목표 7

저렴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지속 가능하고 최신인 에너지에 대한 접근 보장

#image_title
목표 13
기후 변화와 그 영향에 맞서는 긴급 조치

Oasis Montaj, 아프리카의 지열 에너지 찾기  

보츠와나 국제 과학 기술 대학교(BIUST) | 보츠와나

BIUST는 보츠와나의 빠르게 증가하는 인구에게 전기를 공급할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을 키우고 활용하기 위해 카사네 온천을 지열 에너지 생산에 사용할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현장을 온전히 평가하려면 수많은 종류의 지구 물리학 데이터를 포착, 결합 및 해석해야 했습니다. 직관적인 지구 물리학 모델을 단일 플랫폼 내에 생성하여 팀은 해당 지역의 위험과 이점에 대해 깊이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그 결과 BIUST는 예상 카사네 온천이 보츠와나에서 지열 에너지 발전에 가장 적합한 장소임을 파악했으며 보츠와나의 에너지 부족을 지속 가능한 방향으로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했습니다.

관련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image_title
목표 7

저렴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지속 가능하고 최신인 에너지에 대한 접근 보장

#image_title
목표 12

지속 가능한 소비와 생산 패턴 보장

#image_title
목표 13
기후 변화와 그 영향에 맞서는 긴급 조치

파이프라인 시스템 최적화를 위한 Silo AI Flow  

Silo AI | 핀란드

북극권에서 그리 멀지 않은 국가인 핀란드의 도시 대부분은 추운 겨울 동안 난방을 유지하기 위해 지역 난방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중앙 열원에서 단열 파이프망을 통해 열을 개별 건물로 수자원 보냅니다. 하지만 시스템이 노후되면서 10km 마다 매년 하나씩 누출이 발생하게 되어 서비스 중단, 에너지 비효율성, 수자원불안정을 야기했습니다. Silo AI는 단일 디지털 플랫폼에 헬싱키의 난방 시스템에 대한 모든 정보를 불러와 소유 운영자가 누출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위치의 유지 관리 활동을 우선할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 헬싱키의 시스템은 배관 온도를 섭씨 3도 낮춰 에너지 효율이 크게 개선되었고 연료 소비는 감소했으며 동시에 같은 수준의 난방을 제공하게 되었습니다. 

관련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image_title
목표 7

저렴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지속 가능하고 최신인 에너지에 대한 접근 보장

#image_title
목표 11

포용력 있고, 안전하고, 회복탄력적이며 지속 가능한 도시 만들기

#image_title
목표 12

지속 가능한 소비와 생산 패턴 보장

디지털 시티 아이콘

디지털 시티

건강, 지속 가능, 회복탄력성

단 25개의 초대형 도시가 전 세계 도시 온실 가스 배출량의 52%를 생산합니다. 이러한 도시는 기후 변화의 가장 큰 원인이자 가장 큰 피해자이기도 하므로 도시에는 기후 변화 대처를 위한 강력한 동기가 있습니다. 10,000개가 넘는 도시가 이미 2050년까지 자체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도시는 다른 중요한 과제 역시 마주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 도시 인구의 50%만 대중 교통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 매 분마다 17명이 대기 오염으로 사망합니다. 코로나19의 파괴적 특성과 새로운 글로벌 불확실성은 도시 지역이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예측할 수 없는 미래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는 사실을 확실히 상기시켰습니다.

당사는 삶의 질, 건강, 탈탄소화, 기후 복원력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번화한 도시를 강화할 방법과 기술을 계속 찾아야 합니다.

도시는 여기에 머물고 인류의 미래는 의심할 여지없이 도시에 있을 것이나 대도시 지역을 명시하는 것은 아닙니다. 중소 규모의 도시 영역이 계속 성장할 것입니다.

Foth, 디지털로 매핑된 도시 건설

Foth Infrastructure & Environment, LLC | 미국

Perry시는 본래 Foth 시민 접근성 개선을 위해 Foth를 고용하여 모바일 LiDAR 스캐닝으로 소규모 마을의 거리 및 보도 상태를 평가했습니다. 시 공무원들은 곧 이 프로젝트를 보다 많은 녹지를 구축하고 역사적 건축물을 보존하는 등의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추가 도시 전체의 디지털 트윈으로 전환할 수 있음을 깨달았습니다. Foth 굉장한 양의 현실 데이터를 처리하여 도시에 가상 생활을 가져왔습니다. 이제 도시의 공무원은 이를 사용하여 시민에게 보다 강력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잠재적 투자자를 장려하고,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재난 대비를 개선합니다.

관련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image_title
목표 11

포용력 있고, 안전하고, 회복탄력적이며 지속 가능한 도시 만들기

#image_title
목표 13

기후 변화와 그 영향에 맞서는 긴급 조치

#image_title
목표 15

지속 가능한 산림 관리, 사막화 방지, 토지 황폐화 중단 및 회복, 생물 다양성 손실 중지

네트워크 해석과 마라위 재건

Maynilad Water Services Inc. (MWS) | 필리핀

2017 마라위에서는 친 IS 무장 단체가 5개월 간 파괴적인 포위 공격을 쏟아부은 이후 300,000명( 도시 인구의 98%)의 이재민이 발생했으며 도시의 수자원 분배 센터 등 도시 운영의 필수적인 부분에 심각한 피해를 입었습니다. MWS는 빠르게 거주민을 위한 서비스를 복구해야 했지만 프로젝트 현장은 여전히 손상되어 있었고 위험했습니다. 기존의 측량 방식으로 직원을 위험에 내모는 대신, MWS는 수력학 모델링을 사용하여 저압 및 공급 부족을 유발하는 문제 영역을 식별하여 최적화된 목표 지정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합니다. 결과적으로 팀은 전쟁으로 황폐화된 지역의 삶의 질을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되는 복구 전략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관련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image_title
목표 3

건강한 삶을 보장하고 모든 연령대의 웰빙을 증진

#image_title
목표 6
물과 위생에 대한 모두의 접근성 보장
#image_title
목표 11

포용력 있고, 안전하고, 회복탄력적이며 지속 가능한 도시 만들기

자율 주행 및 전기 자동차를 위한 새로운 테스트 트랙

AFRY | 스웨덴

전기차 및 자율 주행 차랑은 운송의 미래이지만 이 기술은 아직 개발 중입니다. 상용차 제조업체 SCANIA는 이러한 혁신을 연마하기 위한 테스트 트랙을 설계하기 위해 AFRY를 선택했습니다. 이 프로젝트에는 19킬로미터의 도로가 포함되며, 여기에는 60개 이상의 교차로와 복잡한 언덕이 많은 지반 조건이 있어 엄격한 테스트를 보장합니다. AFRY는 3D 모델링을 사용하여 단일 요소를 변경하는 것처럼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설계했습니다 다른 사람에게 지구 물리학 데이터를 영향을 미칩니다. 그 과정에서 AFRY는 테스트 트랙의 탄소발자국을 줄이는 동시에 핵심 차량 기술의 장기적 개발을 지원 필수적인 배출 없는 차량 기술 개발을 통해. 

관련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image_title
목표 11

포용력 있고, 안전하고, 회복탄력적이며 지속 가능한 도시 만들기

#image_title
목표 12

지속 가능한 소비와 생산 패턴 보장

#image_title
목표 15

지속 가능한 산림 관리, 사막화 방지, 토지 황폐화 중단 및 회복, 생물 다양성 손실 중지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 지원

궁금한 점을 검색하시거나 상담원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벤틀리시스템즈를 팔로우하세요
© 2023 Bentley systems, incorporated